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조선어
- 스트링
- 스트림
- freenode
- 문화주권
- Notepad++
- 거르개
- ∞
- 티스토리챌린지
- HWP
- 한글화
- 닉 등록
- PC통신
- Nick
- 오블완
- 아래한글
- 연변
- 한국어
- 리브레오피스
- 이제된다
- 소원성취
- crowdin
- 크라우딘
- 눈금자
- 無限想像
- 조선족
- 0 + 0
- infinite imagination
- poedit
- 필터
- Today
- Total
목록번역_웹도구 (6)
DreamFactory7
예전에 그런적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완전히 번역이 되었다. 나는 개인적인 감정때문에 더 이상 이프로젝트는 그간 손은 안댔지만.. 누가했는지 모르겠지만 고생했고 자랑스럽다.
여기서 웹레이트를 여기서 언급한건 5월이지만 내가 번역저장소에서 처음 작업했을때가 2019년인것같다. 나보다 먼저 2018년도에 시작했던 사람도 있었던것같다. 아무튼 내가 2019년도에 100% 번역을 마쳤는데 이후에 다른 분이 또 100% 번역을 마친것같다. 이런 번역은 개발물이 갱신되면 대부분 100% 되던것이 다시 떨어진다. 왜냐면 일부는 글자를 바꾸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들이 있기때문이다. 아무튼 내가 2019년도에 번역을했을땐 웹레이트였는데 이후에 웨블레이트로 이름을 수정한듯하다. 특별히 잘못된것없으면 초기번역을 그대로 두면좋겠다. 그래서 웬만하면 웹레이트로 했음좋겠다.
웹레이트나 트렌지펙에대한 번역과 관련된 내용을 올릴예정이다. 이것들은 온라인 번역도구이다. 여러사람들이 달라붙어서 원하는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자국어로 번역하고 관리를 쉽게 할수있는 사이트이다. 더 사람들이 이것을 써서 번역된 무른모가 더많이 나왔으면좋겠다. 일단 웹레이트는 아마도 내가 제일 먼저 손을 댄듯하다. 확인할수있다면 확인해봐도 좋을듯싶지만.. 좀신박했다. 트렌지펙에비해 뭔가 자유도가 있었다. 그래서 나는 많은 번역 기여를 했다. 누군가 책임지고 하겠다고 하면좋겠는데 또는 그런 행동을 보여줬다면 나는 더이상 미련이 없는데.. 아직까진 그래보이지 않는다. 트렌지펙.. 2012년부터 번역을 해왔다. 내가 처음은 아니지만 나도 나름대로 기여를 했다. 2013년도에는 내가 좀 삽질 좀해서 100%를 채웠..
정의-업스트림이란 무엇입니까?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업스트림이란 클라이언트 나 로컬 컴퓨터에서 서버 나 원격 호스트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업스트림 전송은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데이터가 로컬 시스템에서 서버로 전송되는 속도를 업스트림 속도라고합니다. 업스트림은 다운 스트림과 반대입니다. 이는 서버에서 로컬 컴퓨터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인터넷 노드를 언급 할 때 인터넷 백본에 더 가까운 노드는 백본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노드보다 노드의 업스트림이라고합니다. -- 구글번역 정의 - Upstream의 의미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업스트림이란 클라이언트나 로컬 컴퓨터에서 서버나 원격 호스트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업스트림 전송은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데이터가 로컬 컴..
다음 내용이 삭제되어 다시 번역했다. 물론 번역기를 빌려서했다. 때문에 번역내용이 매끄럽지 않다. https://wiki.documentfoundation.org/Translating_LibreOffice/ko Translating LibreOffice/ko - The Document Foundation Wiki LibreOffice 변환 프로세스는 매우 간단합니다. 제안된 작업 방법은 푸틀 (우리의 온라인 번역 포털)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지역화하면 브라우저와 인터넷 연결만 가능합니다. 오프라인으로 작업하려면 아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현지화를 시작하기 전에, 현지화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지 언어 팀에 확인해 주세요. 마감일 출시 계획을 참조하십시오. 출시 계획은 소스 코드가 베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대해 분류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제가아는바에의한 분류와 편집작업을 하려고합니다. 통합개발환경 http://ko.wikipedia.org/wiki/%ED%86%B5%ED%95%A9_%EA%B0%9C%EB%B0%9C_%ED%99%98%EA%B2%BD 오픈 소스 라이선스 http://ko.wikipedia.org/wiki/%EC%98%A4%ED%94%88_%EC%86%8C%EC%8A%A4_%EB%9D%BC%EC%9D%B4%EC%84%A0%EC%8A%A4 오픈 소스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8%A4%ED%94%88_%EC%86%8C%EC%8A%A4&action=historysubmit&diff=5125683&oldid=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