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눈금자
- 조선어
- Nick
- 이제된다
- poedit
- HWP
- 아래한글
- 0 + 0
- infinite imagination
- 스트림
- 필터
- 티스토리챌린지
- 조선족
- 리브레오피스
- 소원성취
- 닉 등록
- 한국어
- PC통신
- 無限想像
- freenode
- 오블완
- ∞
- 연변
- 문화주권
- 스트링
- Notepad++
- 거르개
- crowdin
- 크라우딘
- 한글화
- Today
- Total
목록번역_유틸리티 (110)
DreamFactory7
자습서 5단계: 어셈블리어 NOP 사용하는 방법 아래는 치트엔진 자습서 영상들에서 보완이나 정정이 필요할것같은것들을 모아둠 그러나 이 영상들은 훌륭한 교과서들임 여기서는 이 주소에 쓰는것을 알아보기 기능과 NOP 코드를 사용하는 방법에대해 설명하려는것같다. 그런데 나는 이 주소에 쓰는것을 알아보기 기능은 잘 안써본것 같다. 아마도 쓸일이 많이 없을것 같은데 잘 모르겠다. 1 동빈나님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dGVVCdPgNL0&list=PLRx0vPvlEmdB8ky_3GDyRFeARmOD2O6ub&index=6 4:20 바꿔놓기 단추를 눌러서 입력하는 값은 어셈블리어를 입력하는게 아니라 1 코드목록에 즐겨찾기를 하고 2 찾아진 어셈블리 코드 그자리를 NOP으로 바꾸..
치트엔진에서는 루아라는 스크립트를 쓸 수 있는데 이는 치트엔진에서 자바 스크립트 같은 것을 쓸 수 있다는 거다. celua는 cheat engine lua api documentation으로 보면 맞을 것 같다. 다시 말해, 치트엔진의 루아용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설명한 파일이다. 이 함수는 이렇게 쓰는 거고, 사용하면 저렇게 동작하고, 이 변수는 언제 쓰는 거다라는 것을 설명해 놓은 거다. 루아 스크립트로 치트를 더 쉽게 쓰기 위해 지원했고 그것을 쓰려면 그 안에 필요한 약속된 함수나 변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프로그래밍 공부가 필요한 부분인데 나도 잘 모른다. 다만 치트 엔진관련된 거는 웬만한 건 한국어로 번역이나 해두고 싶었다. 다행히 transifex에서 텍스트파일을 지원해서 그대로 올려봤고..

다시 치트엔진 7.5 파일을 추출했다. 이번에는 가상상자를 이용했다.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있을지도 모르는 상자에 손을 넣어 꺼냈으니 내손도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을 수 있다. 없다면 다행이겠지만.. 설치판의 po파일은 여전히 7.4.1로 표기되어있다. 그런데 그것의 영문판에는 분명히 7.5라고 되어있었다. 그래서 이번에는 아래처럼 강제로 키값을 고쳐놨는 잘보였다.#: mainunit2.cename # msgid "Cheat Engine 7.4.1" # msgstr "치트 엔진 7.4.1" msgid "Cheat Engine 7.5" msgstr "치트 엔진 7.5" 뭔가 이상해서 아래처럼 수정해봤다.#: mainunit2.cename msgid "Cheat Engine 7.4.1" msgstr "치트 엔..

sandboxie에서 일부프로그램이 설치중에 오류가 난다. 그것중하나가 윈도우즈 인스톨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다고 나오는것이다. 그 오류라면 일단은 해결은 가능한 방법이있다. 이후 어떤문제가 발생할지는 모르겠으나 일단은 이런방법으로 설치는 성공하였다.
제목을 7.4.1이라고 해놨는데 좀 혼란스럽다. 치트엔진은 7.5가 하나인것같았는데 번역파일을 보니 내용이 너무 차이가나서 좀 혼란스럽다. 일단 내가 파악한것대로 정리를 해보겠다. -------------------------------- 7.4.1 버전 (설치용) -------------------------------- 위 링크는 깃허브라는곳에 있는 치트엔진의 소스 저장소에서 7.5 설치버전을 받았더니 거기 po파일에 7.4.1이라고 되어있었다. https://github.com/cheat-engine/cheat-engine/ 위 링크는 깃허브라는곳에 있는 치트엔진의 소스 저장소이다. 거기에 올라온것의 오른쪽에 릴리즈 고리(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의 고리인 7.5의 릴리즈 페이지가 나온다. https:..

웨스노스의 전쟁의 캠페인 중 불타는 태양아래서를 번역 중에 너무 진척이 안 나가서 머리 좀 식힐 겸 치트엔진 7.5 버전을 찾아봤다. (참고로 웨스노스의 전쟁은 자체적으로 치트가 있다. 그냥 머리 좀 식 힐 겸 들어갔다는 뜻이다.) 공식사이트에서 7.5가 출시되어 있어서 한번 받아봤다. 받기가 끝나자마자 윈도우즈가 이놈은 실행시키면 큰일 난다고 경고창을 남발했다.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된 앱 발견" 이라는 메시지가 몇 초 간격으로 떠올랐다. 해당 설치파일을 클릭하니 컴퓨터 속도도 느려지고 해서 지웠다. 디펜더 해제하면 할 수는 있겠지만 그렇게까지 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해볼 수 있을까 해서 인터넷 뒤졌다. 그랬더니 치트엔진 소스를 받고 라자루스라는 프리 파스칼용 통합 개발 환경을 이용해..
====================================== FBEdit에대한 근황 ====================================== https://sourceforge.net/projects/fbedit/ fbedit는 프리베이직용 통합개발환경이다. 나는 이것을 한글화했으나 이건 더이상 업데이트를 하지않는다. 2017년 9월 3일이 최종업데이트이다. 소스포지에는 1.0.6.8 버전 2009년 4월 9일 최종버전이다. 이것의 개발자는 KetilO 인것같다. 그의 이름은 체리버전에서 확인하였다. ====================================== FBEdit의 클론 체리버전 ====================================== 후속으로는 아래의..

일단 나는 treasure of cutlass reef라는 게임을 해볼생각이다. 이게임은 그냥하면 난이도가 갈수록 극악같다. 그래서 치트엔진을 한번써봤다. 그런데 방법이 잘안되었다. 그러다 한 유튜브를 봤는데 잘되었다 유튜브에서는 크롬을 썼는데 나는 파이어폭스를 쓴다. 그러나 비슷하다. 1. 게임창을 만들어둔다. https://www.silvergames.com/en/treasure-of-cutlass-reef Treasure Of Cutlass Reef Treasure Of Cutlass Reef is a great pirate game for your to play on Silvergames.com. You are the commander of a pirate ship and your mission ..
커터를 약 2년전에 조금 번역했었다. 그때는 아무도 번역하지 않아서 내가 듬성듬성 번역했었다. 그런데 같은해에 누군가가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내 번역의 일부를 바꿔놨다. 뭐 생각이 다르니 이런일은 그런가보다 한다. 대부분 이런사람들의 패턴은 비슷하다 1. 고유명사, 기술용어는 원어로 쓴다. 한쪽에서는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자신의 지식을 뽐내기위해 한자로휘갈기는데 이쪽 사람들은 한자대신 영어로 바뀔뿐이다. 2. 웬만한것은 외래어로 표기한다. 3. 그러면서 입으로는 한국말을 하는데 쓸때는 영어로쓴다. 한자를 쓸거면 고대한자를 읽는 식으로 성조넣고 표기하고, 영어를 쓸거면 f, z, th, e, ae, 을 정확하게 하던지나는 화끈거리기도 하고 부끄러워서 그렇게 못하겠으니 전부다 한국말(한국어)로 쓴다.영어로..

몇일전부터 판올림(업그레이드 버전)이 되어있어서 나도 대응을 했다. 나는 이 무른모(소프트웨어)를 볼때마다 여기에 DOSBOX나 BoxedWine같은것이 섞였으면 좋겠다는 생각도해본다. DOSBOX나 BoxedWINE, Sandboxie 모두 마치 트루맨쇼처럼 운영체제 외부와 단절 시키기 때문이다. 윈도우즈는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레지스트리개념과 시스템파일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놨는데 문제는 내가 설치한 무른모들이 레지스트리지나 시스템파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것이다. 더 문제는 그것을 추적하기 어렵다는것이다. 운영체제의 어디에 파일들을 남기고 변경했는지 전혀 알수 없다. 만약 그것이 백신으로도 안잡히는 바이러스라면 포멧밖에 답이 없다. 아무튼 이러한 이유로 나는 이런 소프트웨어를 좋아한다. 한글패치파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