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한글화
- 이제된다
- 스트림
- ∞
- 한국어
- 0 + 0
- infinite imagination
- Notepad++
- PC통신
- 소원성취
- 조선어
- 티스토리챌린지
- 연변
- 거르개
- 無限想像
- 닉 등록
- freenode
- Nick
- crowdin
- poedit
- 크라우딘
- 눈금자
- 문화주권
- 아래한글
- 스트링
- 조선족
- 리브레오피스
- 오블완
- HWP
- 필터
- Today
- Total
목록번역_유틸리티 (106)
DreamFactory7
이클립스를 다국어로 번역하는 프로젝트는 바벨프로젝트라고 한다. 뭐 여기서 바벨은 바벨탑 신화에나오는 것일거다. 그런데 이클립스는 여러가지 면에서 한글 번역하기가 힘들다. 왜냐면 자체적인 인터넷상에서 번역할수있는 도구를 지원하는데, 이건 transifex나 weblate보다 훨씬 열악하다. 예를들면, 로딩 속도가 늦고, 같은 또는 비슷한 낱말들을 연관시켜서 보여주고 이동시켜야하는데 안되고 파일단위로 업다운이 안되고 누가작업했는지 기록도 전부 자체에서 한것처럼 되어버린다. 이러니 한국어번역률이 낮을수 밖에.. 중국은 국가적으로 해버릴수 있을테고 다른나라야 우리보다 참여율이 높아서 그렇다지만.. 우리나라는 너무 낮다. 아래는 바벨 개요페이지이다. https://www.eclipse.org/babel/ 아래는 ..
치트엔진 개발자 다크바이트.. 그걸 어떻게 알았냐고? 오늘 날짜로 치트엔진 켜면 바로 팝업하나뜬다. 사실 내가 이걸 번역했던거같은데.. 오늘에서야 보게되는구나.. 날짜가 지났어도 달력 날짜를 7월 1일로 맞춰두고 치트엔진을 실행하면 뜨지 않을까 싶다. 나는 안해봤다.
초벌이라는 이름이 생각이 안나서 그간 1차 번역이라고 했다가 초벌이라는 낱말을 우연히 봤다. 이제부턴 이 낱말로 쓰겠다. 그리고 초벌을 또다시 완료했으나 조금은 개선되었다. 나는 같은것을 100번을 번역해도 초벌을 벗어나지 못할것이다. 그것은 누군가에게는 그저 아마추어같은 짓으로 보이기때문이고 나에게는 끊어져 무성하게 수풀이 자란 그 길을 다시 파헤쳐 길을 만드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프레임워크라는 낱말을 뼈대라는 낱말로 바꿨다. 아래는 몇몇 사례들이다. https://www.plainkorean.kr/ko/dictionary/dictionary.do?mode=view&articleNo=39910&title=%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 틀 체제등으..
1. 기존것에서 상당한 부분을 보완수정했다. 2. 좀 더 순우리말을 많이 사용했다. 물론 전문가들은 이에대한 반발도 심할거라 생각하지만.. 3. 덕분에 여러번 수정했다. 4. 일관성도 맞춰놨다. 여기서는 이렇게 번역되고 저기서는 다르게 번역되는것을 막았다는 뜻이다. 작업내역이라고 써놨지만 너무 추상적으로 써놔버렸다. 그런데 작업은 절때 추상적으로 안해놨다. 이것은 오늘 수정해놨으니 조만간 적용될것이다.
번역을 완료했다. 사용법: 1. 일단 아래의 파일을 내려받는다 2. \languages 폴더에 배치하고 3. dosbox-x.conf 파일을 메모장같은것으로 열어서 4. language = 이렇게 된것을 찾는다. 5. 그리고 그뒤에 ko_KR.lng 라고 파일명과 같이 써주고 닫기 6. 실행하면 한글보인다. 아울러 dosbox에 추가되었으면하는 것을 적어봤다. 말이 되든 안되든 해보기라도 하면 좋겠다. 1. lng파일대신 po파일 포멧으로 바뀌었으면 좋겠다. 그래야 transifex같은곳에서 공동작업을 할수있다. 2. 디버깅 기능을 addon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나는 도스게임을 분석하고싶은데 ida같은 도구는 8비트 16비트를 지원하지 않는다. 3. 마운트를 쉽게 관리할수있는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다...
공식 도스박스는 0.74-3까지 나왔다. 그이후버전은 여러 곁가지(포크 프로젝트)로 나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아마도 공식버전은 버그때문에 버그잡느라 진행이 안되는것같다. dosbox-x는 그동안 꾸준히 개발을 해온것같다. 아무튼 0.83.15부터인가부터 별도의 한글 바이오스를 쓰지 않아도 한글이 지원되게 해놨다. https://cafe.daum.net/dosbox/CWXY/7206 DOSBox-X 한국어 지원 DOSBox-X version 0.83.15 has been released, which added native support for Chinese/Japanese/Korean DOS/V and TTF modes, with release notes below: (중국어/일본어/한국어 DOS/..
일단 번역은 완료해놨다. 그리고 나중에 정식으로 올려볼까한다. 이후에는 수정작업이 필요하다. 현재 작업된 버전: 1.0.15 내려받기: 사용법: 1. 다운로드 2. 다음 위치로 옮긴다. \Sandboxie-Plus\translations 3. 프로그램실행(나는 이걸로 실행한다. SandMan.exe) 4. Option ->Global Setting -> General Config.UI Language: 한국어 선택 번역이 잘안되는부분은 ?? 으로 해놨다. 이부분은 번역이 좋지않다는건데 언젠가는 수정할계획이있지만..
언제 완료될지는 모르겠다. 아무도 안하면 나라도 해야지.. 진행률은 알수 없다. 내가 대만어를 다 지우지 않는 이상은 진행률은 알수없다. 알고싶으면 한국어빼고 대만어만 제거하면 어떤 번역도구에서는 진행률이 공개 될수 있을것같다.
일단 번역을 완료하였다. 2차 수정은 안했다. 번역에 대한 문의나 오타가 있다면 댓글로 써줬으면 좋겠다. 참고로 이 번역은 순우리말을 지향한 번역이다. 따라서 다른 번역가들과는 번역이 많이 다를것이다. 가능하면 외래어, 한자어를 쓰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그렇다고 아예 안쓰기에는 힘들었다. 따라서 최소화하는데 노력했고, 이것을 올린 뒤로도 계속 수정할것이다.
치트엔진 7.4를 번역할려고 설치할려는데 백신이 막았다. 그래서 sandbox를 설치하려니까 내 시스템에서는 설치가 안된다. 그래서 sandboxie-plus를 받아서 설치를 했다. 그런데 한글화가 안되어 있었다. 마침 구글에 sandboxie-plus 칠때 자동으로 연관검색어에 한글이 있어서 sandboxie-plus 한글도 검색해봤다. 다행히도 이런 소소한 오픈소스에도 누가 만들어 놨구나생각하니 진짜 고마웠다. 그래서 검색결과에 클릭했다. 왠지 낯이익은 블로그로 연결되었다. 뭔가 이상해 한참을 봤다. 하... 여긴 내블로그였다. 이걸 한참보고 나서야 내껀지 알았다는게, 참... 내가 내껄보고 나한테 고마워했다니 웃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