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
- HWP
- crowdin
- 티스토리챌린지
- 크라우딘
- 스트림
- 한국어
- 문화주권
- 연변
- 아래한글
- 소원성취
- 조선어
- 필터
- 한글화
- Nick
- PC통신
- 오블완
- 닉 등록
- 조선족
- 눈금자
- 거르개
- 0 + 0
- infinite imagination
- 리브레오피스
- 이제된다
- Notepad++
- 스트링
- poedit
- freenode
- 無限想像
- Today
- Total
목록생각/번역 (62)
DreamFactory7
다른 번역들과는 이런부분이 다를것이다. 다른이들은 목적격조사를 안쓴다. 예를 들면 메모장에 메뉴에서 파일 -> 페이지 설정 이 있다. 나같으면 페이지 설정 대신 페이지를 설정으로 하겠다는것이다. 지금은 생각나지 않지만 이게 햇갈렸던적이있었다. 모든 번역이 그렇지만 그거하나 이렇게 한들 저렇게 한들 내선에서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다만 그게 내선을 떠나면 상당한영향을 끼친다. 그러니까 신중할 필요가 있었던것같다. 아무튼 나는 번역할때는 ~을, ~를을 붙인다.
대문자 약자나 모든 외래어를 한글로 번역해야할까? 나는 그래야한다고 생각한다. 왜냐면 알파벳 조차 읽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방법: 일반적으로 대문자 약자같은경우 원문을 그대로 적는다면 번역을 하지않는것이고 소리나는데로 적는게 1차적인 번역이고 우리말뜻으로 적는것은 완역 순화하여 적는것은 순화완역으로 부르는게 좋겠다. 요약: - 원문: 번역을 하지않는것 - 소리나는데로 적음: 외래어 직역 - 우리말뜻으로 적음: 한자어 직역 - 순화하여 적음: 순화 완역 예를들어, GPS는 약자인데 대체적으로 영어 그대로 쓰고 번역하지 않는편 같다. - 원문: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소리나는데로 적음: 지피에스 - 우리말뜻으로 적음: 범지구적위치결정체제 - 순화하여 적음: 온+자리..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리말 순화를 어떤식으로든 거부반응을 일으킨다. 개발자들은 우리는 그런거 할 능력이 안된다. 교수나 학자들은 새로운것을 받아들이는데 바쁘다. 생각없는 사람들은 어감이 촌스럽다. 우리만 알아야하고 일반인들은 정확하게 알면 안된다. 그러므로 그들은 외래어를 그대로 무분별하게 쓰겠다는 뜻이다. (앞에 썼던 말들 복붙함) 이런형태는 한자에서 한글로 넘어가는 그 때도 그랬을것이다. 그럼에도 개발자이신 세종대왕은 한글개발에 강행했고 그결과 수많은 사람들이 수백년동안 그혜택을 보고 있고 앞으로 한국인이 멸망하지않는한 영원히 이어갈것이다. 그들은 왜 번역을 해야하고 왜 순화를 해야하는지 답을 찾지못했을것이다. 답을 못찾았으니 할 이유도 없는것이다. 아니 어쩌면 답은 찾았으나 남에게는 설명하기 ..
우리말로 순화된 용어들을 수집하였다. 조만간 용어들을 통합하려한다. 1993년 문화체육부, 전산기 https://www.hanmalgeul.org/55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51B4455BC62740B?download 전산기 순화 용어(문화체육부. 1993).hwp 1994년 문화체육부, 국어정보학회, 조선일보사, 전산기 https://blog.daum.net/jewel8975/7298549 http://withmooc.com/%EC%9A%B0%EB%A6%AC%EB%A7%90-%EC%A0%84%EC%82%B0%EA%B8%B0%EC%BB%B4%ED%93%A8%ED%84%B0-%EC%9A%A9%EC%96%B4-%EC%9D%BC%EB%9E%8C%EB%AC%B..
한본어, 영본어, 한글에 한자를 유지하자는 사람들 다 같은 부류다 거다. 현재 우리나라는 영어를 많이 섞어쓴다. 그런데 영어 외래어자리에 일본어가 그대로 들어가면 좀 창피함을 느낄 사람들도 있을것이다. 그게 우리의 보편된 인식이다. 영어는 좀멋있고 스웩있는데 일본어는 뭔가 어설픈 느낌이 있다 그건 한글에 한자를 섞어쓰자는 사람들의 주장은 한글에 영문그대로 해서 섞어쓰는 번역자와 뭐가다른가? 번역은 다하는데 외래어를 그대로 쓰자는 사람들의 주장은 한국 건설현장에서 한국사람들이 일본어로 일시키는것과 뭐가 다른가? 영어는 멋있다? 그럼 일본어는 안멋있나? 중국어는? 프랑스어는? 멋없는 언어가 어디있겠는가? 반대로 그게 누군가에겐 멋있겠지만 누군가에겐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객관적인 멋에대한 기준이라는것에 공감..

출처: https://m.clien.net/service/board/park/13497130 한국 오덕의 한본어, 서양 K팝팬의 영한어에 이은 영본어.jpg : 클리앙 다레카 헬프 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clien.net

나는 이런 상황을 이해할수 있다. 두개 이상의 언어가 익숙한상태에서 사용한다. 이런상황에서 모국어에는 1 마땅한 표현이 없거나 2 있어도 다른언어의 단어보다 의미전달이 약하거나 3 길어서 불편하거나 4 상대도 그언어에 익숙하거나 할때 모국어가 비효율적임을 느낀것일거다. 위에 나열한 경우가 전부는 아닐것이다. 출처: https://steemit.com/culture/@ramengirl/5fjjtu-or-ramengirl 요즘 해외에서 인기라는 신종 한영어 | Ramengirl🍜 — Steemit [KR] 요즘 해외에서 인기라는 신종 한영어 안녕하세요~ 요즘 외국에서 인기라는 한영어라고 들어보셨나요? 한영어는 한국어 발음을 영문 알파벳으로 옮긴것이에요. 예를들면 진짜?를… by ramengirl steemi..

소위 한본어라는거다 출처: https://hygall.com/198416151 해연갤 - ㅌㅆㅍ 노가다 한본어 VS 오타쿠 한본어 해연갤, 해외연예, 해피소, 해외연예갤러리, 배우, 가수, 밴드, 모델, 영화, 드라마, 연예인, 게임, 스포츠 hygall.com 출처: https://mobile.twitter.com/shihla_bakje/status/1076789740798529536 쉬흘라의 즐거운 탐라 on Twitter “국한문빌런vs한본어빌런” mobile.twitter.com 나는 솔직히 반이상은 못알아 먹겠다 한자자리가 영어라해도 뜻을모르면 모르겠지 누군가에겐 영어도 한본어처럼 보일수밖에 없다
모두다 우리말 순화를 거부한다. 개발자는 우리는 그런거 할 재능이안된다. 교수나 학자들은 새로운것을 받아들이는데 바쁘다. 그럼 누가 그걸 해야하나? 누가가 중요한가? 누가되었던지 해야한다. 그리고 그수준에대해 얼마나 해야하나? 하지마?, 적당히?, 완전히? 완전하게하도록 지향해야한다. 그게 쉽지 않기때문이다. 그래야 그나마 그정도라도 이뤄질수있다. 하지않으면 안된다. 그건 밥하는게 번거로우니까 하지말자는것과 같다. 그냥 죽자는거다. 강하게 해야한다. 그래야 바뀐다. 약하게하면 바뀌지않는다. 그러면 결국 종속되버리고만다. 아래는 우리말을 몇가지를 올려두었는데 일부 인용하려고한다. 그러나 나는 절때로 외래어에 타협하지않을것이다. 타협하면 외래어가 굳어진다. 그러면 차라리 외래어표기를 그대로 쓰자라고 할것이다..
기술 용어(낱말)를 쓸때 어려운말로 하지마라 자신의 허영을 뽐내기라도 하려는거 아닌가? 어려운말을 찍찍 갈겨쓰는건 마치 둘이 섹스를 해야하는데 혼자만 끝내버린것과 같다. 이기적이라는거다. 그용어를 잘모르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그들을 이해시킬생각은 하지 않는건가? 원래 어려운 낱말이라고? 그런 어리석고 게으르고 부끄러운말이 어디있나? 세상에 나도는 용어(낱말)들은 처음부터 어려운건 하나도 없다. 다만 내가 적절한 비유가 생각나지 않아서 설명하기 어렵거나 차마 금기시 하는 비유를 말을 할수 없는것 뿐이다. 비유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면 세상의 모든 지식은 누구나 자신의 것으로 만들수 있다. 정말 비유가 적절한 말을 하는 사람들은 그냥 얻어 걸린게 아니다. 그만큼 평소 많이 생각한 결과라고 봐야한다.